조식의 칠보시(七步詩)
삼국시대 조조의 아들 조비가 권력을 잡자
당시 라이벌이였던 자신의 동생 조비를 죽이려고 계략을 꾀한다.
시문에 뛰어났던 조비를 부른다.
그리고 두마리의 소가 싸우다가 한마리가 떨어지는 그림을 보여준뒤
여섯걸음도 여덟걸음도 아닌 일곱걸음동안 이 그림을 묘사한 시를 짓되,
소와 싸운다 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안된다는 조건을 건 뒤, 이를 하지 못할경우 사형시킨다고 하였다.
그러자 조비는 즉시 발을 떼며 시를 지었고, 그 시가 칠보시 이다.
칠보시(七步詩)
兩肉齊道行 (두 마리의 고기덩이, 길을 가지런히 가는데)
頭上帶凹角 (머리엔 볼록한 뿔이 달렸다)
相遇凸山下 (서로 철산 밑에서 만나서)
欻起相唐突 (홀연 싸움이 벌어진다)
二敵不俱剛 (두 대적은 다 함께 강할 수 없어)
一肉臥土窟 (한 고기덩이는 토굴 속으로 쓰러진다)
非是力不如 (힘이 부족한 것이 아닐세)
盛氣不泄畢 (기운을 다 쏟지 못함일세)
이를 보고 조비는 감탄 하여 살려주려 하나, 대신들이 그림을 미리알고 지은시 일수 있다며,
즉 즉흥시가 아니라며 다른 시험을 또 내게한다.
그 시험은 지금의 상황을 묘사하는 시를 짓되 형이나 제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안된다는 조건이었다.
이 시는 칠보시 혹은 자두시(煮豆詩) 라고 부른다. (두번째 시를 지을때는 걷지 않았다는 주장이 있다.)
자두시(煮豆詩)
煮豆燃豆萁 (자두연두기 - 콩대를 때서 콩을 삶으니)
豆在釜中泣 (두재부중읍 - 솥 속의 콩은 울고있다)
本是同根生 (본시동근생 - 본래 한 뿌리에서 났건만)
相煎何太急 (상전하태급 - 어찌 이리 급하게 삶아대느뇨)
위의 시는 삼국지연의 버전이고, 세설신어에는 다르게 적혀있다.
漉豉以爲汁 (녹시이위즙 - 메주를 걸러 즙을 낸다)
萁在釜下燃 (기재부하연 - 가마 밑에선 콩깍지를 태우니)
豆在釜中泣 (두재부중읍 - 콩은 솥 안에서 우네)
本自同根生 (본자동근생 - 본래 한 뿌리에서 났건만)
相煎何太急 (상전하태급 - 어찌 이리 급하게 삶아대느뇨)
'詩가 흐르는 상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月下獨酌(월하독작) - 이백(李白) (0) | 2016.05.07 |
---|---|
[스크랩] 모란이 피기까지는 - 김 영랑 (0) | 2016.05.03 |
[스크랩] 목련 - 류 시화 (0) | 2016.04.24 |
[스크랩] 어디 우산 놓고 오듯 - 정현종 (0) | 2016.04.24 |
[스크랩] 쉽게 씌어진 시- 윤동주 (0) | 2016.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