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혜의 골방

마늘 까던 남자

tlsdkssk 2013. 3. 23. 04:35

 

     

             마늘 까던 남자

 

 

 

                                                                        민 혜

 

 

 

 

 

  언젠가부터 마늘을 까는 일은 그 남자의 몫이 되었다. 퇴직하고 하릴없이 늙어

 

가는 터수에 아내를 도와 마늘 좀 깠기로서니 유난 떨 일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그건 분명 이변이요 사건이었다. 왕년의 그는 어떤 일이 있어도 스스로 밥 한 끼

 

챙겨먹지 못했으며 자기 마누라가 허리 다쳐 누워 있을 때도 설거지 한 번 도와

 

주지 못했던 남자였으니 말이다. 퇴직하고 하루 세끼 꼬박꼬박 집 밥 먹는 남자

 

를 '삼식이'라 한다는데 그는 정말 집 밖을 모르는 원조 삼식이었다. 착실한 삼

 

식이 생활로 접어든지 어언 6년, 까칠해진 마누라의 눈치를 의식한 거였을까. 어

 

느 날 그는 아내인 내가 바가지에 수북 담아 놓은 마늘을 보더니 까주겠노라고

 

자청했다. 나는 눈이 번쩍 뜨였다. 몇 해 전만 해도 김장철에 마늘 좀 까달라고

 

부탁을 하면 기가 펄펄해 끄떡도 않던 남편 아닌가.

 

 

  처음엔 마늘 한두 톨 까다말고 손톱 밑이 아리다고 엄살을 피우더니 한두 번 횟

 

수를 거듭하며 그의 솜씨는 제법 숙련되어 갔다. 마늘을 깔 때면 남편은 늘 소파

 

에 자리를 잡고 앉아 구시렁거렸다.

 

  "집에 있어 보니 여자들 하는 일이 장난이 아니네. 앉아서 까는 데도 허리가 아프

 

잖아?”

 

 

  그럴 때면 나는 집안 일이 여태 장난인 줄 알았냐며 히죽이 웃곤 했다. 남편은

 

햇마늘을 깔 때는 수월하게 해냈지만 마늘의 물기가 걷혀 껍질이 말라붙으면 혼

 

자 짜증을 내기도 했다. 잘 마른 마늘 껍질은 밀착력이 좋아 물에 불려도 잘 벗

 

겨지지 않을 때가 있는데 그는 팥알만큼 달려 있는 쪽 마늘도 버리지 않고 깠다.

 

버리라 해도 기어이 까내곤 결과에 대해 혼자 흡족해 하였다. 씨알만한 마늘까지

 

까느라 손톱이 쓰라렸던지 굵게 팬 그의 이마 주름과 미간은 가로 세로로 볼썽사

 

납게 찌푸려들곤 했다. 남편은 이렇게 좀스런 일에 집착하는 적이 많아 종종 나

 

의 빈축을 사곤 하였다.

 

 

  요즘은 전업주부로 들어앉은 남자도 있다지만 자고로 남자란 아침에 나갔다가 저

 

녁에 들어 와야 대접을 받는다. 금슬 좋은 부부라 해도 예외는 아닐 듯하다. 적

 

당한 공복감이 식욕을 돋게 하듯 인간관계 역시도 거리와 접촉을 번갈아 유지할

 

때 탄력을 얻는 때문이리라. 하지만 남편은 주로 집안에 있는 걸 좋아했다. 사교

 

도 즐기지 않고 운동도 싫어하며 몸도 여기 저기 아프다 보니 집에 머무는 게 가

 

장 편한 모양이었다. 그런 가장을 지켜봐야 하는 아내의 입장 같은 건 조금도 헤

 

아리지 못하는 것 같았다.

 

 

  우리는 잠자는 시간도 다르고 밥 먹는 시간도 다른 완벽한 엇박자 인생. 내 눈

 

꼬리가 쳐지며 잠자리에 들 무렵이 그에겐 물오르는 시간이다. 티브이 보랴 화장

 

실 들락거리랴 냉장고 뒤져 먹을거리 챙기랴, 밤 잠 없는 그로 인해 잠귀 밝은

 

나는 종종 선잠을 자야했다. 내가 잠에서 깨어날 무렵에야 그는 비로소 잠자리로

 

기어든다. 단 두 식구 살면서도 밥 차리는 횟수는 하루에 대여섯 번. 그것도 모

 

 

자라 남편의 잔소리는 해마다 늘어만 갔다. 눈 밝던 시절에는 이젤을 펼쳐 놓고

 

나의 초상화를 그리는 낭만적 광경도 보여주더니 노안(老眼)이 되면서 티브이 시

 

청을 주된 일과로 삼았다.

 

 

  그는 티브이를 보면서도 입을 가만 두질 못했다. 뉴스를 볼 때는 정치 사회에 대

 

한 정견을 쏟느라 내 귀에 못을 박고, 연예 프로나 드라마를 볼 때면 인물 타박

 

으로 못질을 해대었다. 나이 탓인지 이미 했던 불평을 까맣게 잊고 처음 하는 말

 

처럼 정색하고 힘을 주며 다시 해댄다. 그만 좀 하라고 한 마디 던지면 그는 열

 

마디. 나는 숫제 입을 다물곤 속으로 중얼거렸다.

 

 

“이래서 황혼 이혼을 하는 거야, 황혼 이혼을.”

 

 

  나는 때로 얼마나 간절히 황혼 이혼을 꿈꾸었던가. 퇴직 후 아내 곁에 꼭 붙어

 

떨어지지 않는 남자를 빗대어‘비에 젖은 낙엽’이라 하는 우스갯말도 있다지만

 

그는 도무지 내 곁을 떨어질 줄 모르는 바싹 말라붙은 마늘 껍질이었다.

 

 

  열무를 절여 놓았는데 깐 마늘이 한 톨도 안 보인다. 손녀가 생기고부터 아들집

 

을 자주 들락거리는 통에 마늘 떨어진 걸 몰랐다. 풀 쑤랴, 파 다듬으랴, 생강

 

찧으랴, 나는 혼자 동동거린다. 항공사 승무원인 며느리가 해외로 나가는 날이라

 

얼른 일을 마쳐야 할 텐데 마늘 까주던 남자는 저 세상으로 가고 없다. 그가 위

 

암으로 세상을 뜬 지 어느 덧 1년이 넘었다.

 

 

 

 

  나는 플라스틱 바가지를 들고 베란다에 나가 마늘 두어 통을 담아온다. 남편이

 

 

있었다면 팥쥐 어멈 콩쥐 부리듯 서너 줌은 안겨주었을 게다. 그는 언젠가부터

 

내 안색이 수상쩍게 보이면 계면쩍은 표정으로 마늘 깔 거 없느냐며 선수를 치곤

 

했다. 고마우면서도 한편으론 눈치나 보는 가장의 신세가 처량해 되레 짜증이 치

 

밀 때도 있었다. 내 최선의 선택은 입을 닫는 것. 하고픈 말을 다 쏟았다간 나는

 

필경 뿔이 아홉은 달린 마녀로나 변할 것이다. 쓸 일도 없건만 남편은 소파에 앉

 

아 마늘이나 까고 있고, 나는 저만치서 그가 하는 양이나 지켜본다. 마늘에 열중

 

하고 있는 그의 얼굴 위에 웬일로 예닐곱 살이나 되었음직한 동안(童顔)이 슬며

 

시 포개진다. 이상도 해라, 피부는 늘어지고 머리엔 무서리가 허연데 저 아이는

 

누구란 말인가. 아이는 제법 귀티 어려 보이나 표정만은 엄마에게 야단맞고 시무

 

룩해 있는 듯 자못 쓸쓸하다. 그 아이는 번번이 남편 곁을 맴돌며 내 시선을 붙

 

들곤 했다. 그럴 때면 나는 그만 가슴이 저릿해져 저 아이가 있는 한 도저히 떠

 

날 수 없을 거란 체념과 함께 눈빛으로 아이를 가만히 보듬었다. 남편은 내가 이렇듯 안쓰

 

럽게 지켜보았던 사실을 몰랐을 것이다.

 

 

 

  나는 지금 남편이 늘 앉던 그 자리에 앉아 혼자서 마늘을 까고 있다. 아릿한 마

 

늘향이 코끝에 머문다. 가슴 한 구석에 덜 자란 아이가 웅크리고 있었던 때문일

 

까 그는 세상살이에 능하지 못해 종종 대열에서 벗어났고, 가장의 역할을 보란

 

듯 해낸 적이 드물었다. 이런 남편이고 보면 그의 삶은 왕왕 마늘 맛처럼 맵고

 

아렸을 터. 면도날 같은 자존심과 여린 감성으로 뭉쳐 있던 그에게 아내란 존재

 

는 생마늘과도 같았을 터. 아니, 내 견고한 침묵의 껍질 속에 도사리고 있던 독

 

하고 매운 맛을 어찌 생마늘 정도에 견줄 것인가.

 

 

  “바빠 죽겠는데 마늘은 안 까주고 당신 지금 어디 가 있는 거야?”

 

 

  이젠 그가 입을 다문 대신 내가 열 마디 스무 마디를 내쏟는다. 생전에 그를 더

 

품어주지 못한 게 마늘 즙으로 상처 문질러대는 듯하다. 고운 정만이 정은 아니

 

라고 하였나. 기실 미운 정이 있어야 그 정은 더 깊어진다고 했다. 미운 정이야

 

말로 인내와 관용으로 다져진 훨씬 품 너른 감정이기 때문일 것이다. 아, 마늘이

 

나 까고, 마늘이나 까고….

 

 

  지난 1년간 나 혼자 남편에게 중얼거린 말이 살아생전 몇 년간 했던 말보다 더

 

많았던 것 같다. 생전엔 거슬리는 것만 보였는데 가고 나니 그의 살뜰했던 잔상

 

만 뼈대처럼 또렷하다. 장례 날 왔던 남편의 친구들은 살아생전 그가 내 자랑을

 

그렇게 하고 다녔다는 말을 이구동성으로 전했다. 신은 삶에선 도무지 보여지지

 

않는 걸 보여주기 위해 죽음이란 비장의 장치를 마련해둔 것일까. 시간은 저만치

 

흘러갔는데 추억은 아직 이만치서 맴돌고 있다.(19매)

'민혜의 골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지막으로 예쁜 나이  (0) 2014.02.06
산/2013 목포문학상 수필 본상 수상작품  (0) 2013.10.31
밥상 맡에서  (0) 2011.03.25
어머니, 그 이름  (0) 2011.03.11
나를 만나던 날  (0) 2010.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