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리다 칼로 (Kahlo, Frida) [1907~1954] =
1907년 멕시코시티 교외 코요아칸에서 출생하였다.
독일인인 프리다 칼로의 아버지는
그에게 '프리다'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는데,
독일어로 평화를 의미한다.
그녀의 어머니가 멕시코 혁명 당시
농민 지도자인 자파의 부하들을 보살펴 준 것을 계기로
멕시코 청년공산당에 가입하여
죽을 때까지 골수 스탈린주의자였다.
7세 때 소아마비에 걸려 다리를 절게 되었고,
1925년 18세 때 교통사고로
척추, 오른쪽 다리, 자궁을 크게 다쳐
평생 30여 차례의 수술을 받는 등
이 사고는 그의 삶 뿐만 아니라 예술 세계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사고로 인한 정신적·육체적 고통은
그의 작품 세계의 주요 주제가 되었다.
1939년 르누와 콜 갤러리에서 열린 멕시코전에 출품하여
파블로 R. 피카소(Pablo Ruizy Pacasso)·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등으로부터
초현실주의 화가로 인정받았으나
프리다 칼로 자신은 자신의 작품 세계가
유럽의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고,
멕시코적인 것에 뿌리를 둔 것이라며 정체성을 강하게 지켰다.
삶은 매우 연극적이었고
항상 여사제처럼 전통 의상과 액세서리를 착용하였으나
사회 관습에는 완강히 거부했기 때문에
페미니스트들에게는 20세기 여성의 우상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작품으로는 사고로 인한 고통을 극복하고자
거울을 통해 자신의 내면 심리 상태를
관찰하고 표현했기 때문에 특히 자화상이 많다.
가장 심각한 것은 세 번에 걸친 유산과
남편의 아이를 낳을 수 없다는 사실이었으며,
이는 고통스러운 재앙으로 받아들여져
《헨리포드 병원》(금속에 유채, 38×30.5㎝, 1932),
《나의 탄생》(캔버스에 유채, 173.5×173㎝, 1932),
《프리다와 유산》(종이에 리소그래피, 31.7×23.5㎝, 1932)
등과 같은 작품들로 형상화되었다.
이 작품에서 프리다 칼로의 모습은 탯줄과 줄
혹은 뿌리 같은 오브제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다친 사슴》(나무에 유채, 22.4×30㎝, 1946) 속의
그녀의 모습은 비록 여러 개의 화살 때문에
피를 흘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선은 매우 투명하고 강한 빛을 발하는데
이는 삶에 대한 강한 의지와 자신의 고통이
오히려 예술로 승화되었음을 나타낸다.
1970년대 페미니즘 운동이 대두되면서
그녀의 존재가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했고,
1984년 멕시코 정부는 그녀의 작품을 국보로 분류하였다.
* * * 마 리 아 * * *
프리다 OS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