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가 흐르는 상자

[스크랩] 박지원/ 딴 세상 아내에게

tlsdkssk 2017. 7. 28. 09:13


딴 세상 아내에게 박지원

 

잠시 이별하나 했네, 영원한 이별인데     同床少別已千年(동상소별이천년)

먼 하늘 구름 너머, 그 너머를 바라보오   極目歸雲倚遠天(극목귀운의원천)

어찌 하필 오작교를 건너야만 만나리까   後會何須烏鵲渡(후회하수오작도)

은하수 서쪽 달이 조각배와 같은 것을     銀河西畔月如船(은하서반월여선)

*원제: [도망(悼亡; 죽은 이를 애도함)]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이 남긴 작품 가운데, ‘여인(與人: 어떤 사람에게 줌)’이라는 편지 글이 있다. 벗의 소중함을 극도로 강조하고 있는 그 글에서 연암이 한 말을 내가 좋아하는 시조라는 그릇에다 가감 없이 옮겨 담아보면 대략 다음과 같이 될 것이다.


   “아내와 벗 가운데 어느 편이 더 귀한가?/ 당연히 벗보다는 아내가 먼저라고?/ 천만에, 아내 따위가 어찌 벗을 따를라고// 아내야 죽고 나면 새 장가를 들면 되지/ 두세 번 새 장가를 다시 가도 좋은 거고/ 서너 명 첩을 둔대도 안 될 일이 무에 있어// 깨어진 그릇 따위를 새 것으로 바꾸듯이/ 늙고 헌 아내를 새 아내로 맞바꾸면/ 새 아내, 헌 아내보다 더 좋기가 십상이지// 하지만 벗이 죽으면 그 누구와 맛을 보며/ 보고 듣고 향기 맡고 그 누구와 같이 하나/게다가 대체 누구와 내 마음을 나눌 건가


깜짝 놀라서 입을 딱 벌리지 않을 수가 없다. 몽둥이로 뒤통수를 난데없이 한 대 얻어맞은 것처럼 어안이 벙벙할 지경이다. 아니, 벗이 죽으면 아내와 함께 맛을 보고, 아내와 함께 보고 듣고 향기 맡고, 아내와 함께 마음을 나누면 될 것 아닌가. 벗이 살아있다 하더라도 당연히 이 좋은 것들을 아내와 먼저 하는 게 맞을 터이고. 그런데 진보적 선각자로 널리 알려져 있는 걸출한 문인 연암이 정말 이런 말을 했단 말인가 연암이 요즘 청문회에 나왔다면 아마도 이 글 하나로 낙마를 하고도 남았을 게다. 


   그런데 바로 그 연암은 쉰 한 살 때인 1787, 35년 동안이나 같은 수저를 사용했던 정든 아내를 저 아득한 하늘로 떠나보냈다. 그가 살았던 시대에는 죽음을 슬퍼하는 시가 봇물처럼 쏟아져 나왔지만, 막상 희로애락을 평생토록 같이 한 아내의 죽음을 슬퍼하는 시는 거의 없었던 흑백의 시대! 바로 그런 시대에 연암은 아내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를 무려 스무 편이나 남겼다고 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위의 시다. 새삼스럽게 분석이고 뭐고 할 필요도 없이 아내를 잃어버린 망연자실의 막막함과 아내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이 가슴 뭉클하게 포착되어 있다.


이런 시를 남긴 시인답게 연암은 그 후 18년 동안이나 혼자 살다가 은하수에 떠 있는 조각배를 타고 아내의 뒤를 따라 갔다. 그토록 기나긴 세월 동안 새 장가를 들지 않았음은 물론이고, 누구나 두던 그 흔한 첩조차도 둔 적이 없었다. 편지글의 내용과는 완전 딴판이니, 모순이라도 이만저만한 모순이 아니다. “깨어진 그릇 따위를 새 것으로 바꾸듯이/ 늙고 헌 아내를 새 아내로 맞바꾸면/ 새 아내, 헌 아내보다 더 좋기가 십상이라던 그가 도대체 왜 그랬을까? 도무지 모르겠네. 왜 그랬는지.


             글: 이종문(시인, 계명대 한문교육과 교수)


출처 : ♣ 이동활의 음악정원 ♣
글쓴이 : 만산홍록재 원글보기
메모 :

'詩가 흐르는 상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성사전/이외수  (0) 2017.08.05
[스크랩] 이병률 끌림 중에서  (0) 2017.08.01
[스크랩] 쓸쓸해서 머나먼...최승자  (0) 2017.07.28
[스크랩] + 비 / 천양희  (0) 2017.07.28
[스크랩] + 비 / 천양희  (0) 2017.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