八正道
붓다가 괴로움의 현실을 종식시킬 실천적 가르침으로써 베푼 것이
곧 여덟가지 올바른 길(八正道)이다.
① 정견(正見):올바른 이해.
경전에서는 사성제를 수행할 때
"법(法)을 잘 결택(決擇)하여 관찰하는 것."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② 정사유(正思惟) :올바른 생각.
바르게 사유하고, 바르게 마음먹는다는 뜻으로써,
"생각할 바와 생각 안할 바를 마음에 잘 분간하는 것."
③ 정어(正語) :올바른 언어.
네가지 악한 구업(口業),즉 거짓말, 이간질 하는 말, 아첨하는 말,욕설 등을 하지않는 것.
④ 정업(正業):올바른 행위.
세가지 악한 신업(身業) 즉 살생, 도둑질, 도덕적으로 그릇된 성(性)행위를 하지않는 것.
⑤ 정명(正命) :올바른 생활.
올바른 직업생활로써 적절한 방법을 통해 의식주를 구하는 것.
⑥ 정정진(正精進) :올바른 노력.
끊임없이 노력하여 물러섬이 없이 마음을 닦는 것.
⑦ 정념(正念) :올바른 억념(憶念)
올바르게 기억하는 것인데, '생각하는 바에 따라 잊지 않는 것'
⑧ 정정(正定):올바른 명상.
바르게 집중한다는 뜻으로서 마음을 한 곳에 모아서 선정(禪定)에 드는 것.
이 여덟가지 중에서 정견(正見)과 정정(正定),
즉 지혜와 선정의 올바름이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초기 불교의 성격은 지(止:Samatha)와 관(觀:◎pastina)의 병수(釜修)라든가,
정(定:Samadhi)과 혜(慾:Rrajna)의 쌍수(雙修)라고 하는
후대 불교사상에 그 근원적인 원리를 제공하고 있다.
존재의 법칙
(1) 연기법(緣起法)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다.
'깨닫는다'는 말은 말들어 낸다는 어떤 창조적인 행위가 아니라,
이미 있어왔던 '진리에대한 발견'이라는 의미 이다.
"연기의 법은 내가 지은 것도 아니요, 다른 사람이 지은 것도 아니다.
여래가 세상에 나오건 나오지 않건 간에 이 법은 상주(常住)요, 법주(法住)요, 법계(法界)이니라.
여래는 다만 이 법을 자각하여 바른 깨달음을 이루어 중생들에게 설하나니‥"(잡아함 권12)
이미 있는 진리에 대한 깨달음의 방법론은 귀납의 논리로써
현대 자연과학의 진리와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는 이유도
바로 이 연기의 자각에 그 원인이 있다.
연기(緣起)란 무엇인가?
어떤 것이 말미암아서(緣) 일어난다.
즉 생긴다(起)는 의미이다.
이것은 나의 존재를 위해서 他의 존재를 전제하는 것이요,
그 역(逆)도 성립함을 의미한다.
이처럼 연기는 존재와 존재 사이의 관계에 대한 법칙이다.
서로 상의상관성(相依相關性)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此有故彼有)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기고 (此生故彼生)
이것이 없으므로 저것이 없고(此無故彼無)
이것이 멸함으로 저것이 멸한다.(此滅故彼滅)" (잡아함 권15)
A의 존재에 반드시 B의 존재가 전제가 되며,
그 역도 성립한다는 이론은 A만으로는 존재할 수 있는 성질,
즉 자성(自性)을 A 스스로 갖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논리를 성립시킨다.
무자성(無自性)이다. 연기이므로 자성(自性)이 없다는 것이다.
여기, 자성은 인도 정통철학의 아트만(atman)이다. 아(我)이다.
이러한 아(我)가 없다는 것이다. 즉 무아(無我)이다.
대승불교의 아버지 용수(龍樹:Nagarjuna)보살은
연기-무자성-공(空)의 논리를 내세웠다. 공(空)이 곧 연기라는 것이다.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다."로 시작되는 위에서 언급한 게송은
후세의 학자들이 「연기의 공식」이라고 한다.
연기의 공식에 대한 공간 고찰에서
우리는 공(空:sunya)사상 이해의 실마리를 갖기에 이르렀다.
마찬가지로 연기의 공식에 대한 시간적 고찰을 해볼 때
인과(因果)법칙에 대한 이해를 갖게 된다.
'이것'이 씨앗이라면, '저것'은 열매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인(因), '저것'을 과(果)라고도 한다.
또는 인을 짓는 의지적 작용을 업(業:karma)이라고 하고,
그래서 생기는 필연적 반응이나 결과를 보(報:vipaka)라고 한다.
인과업보(因果業報)라는 말은 이렇게 해서 생긴다.
연기는 대승불교에 이르러 불교의 두가지 사상의 하나를 이름하기 臺한다.
실상론(實相論)과 연기론(緣起論)이다.
전자는 본체(本體)에 대한철학이며, 후자는 현상(現象)에 대한 철학이다.
그러한 연기론철학은 업감연기설(業感緣起說), 아뢰야식(阿賴耶識)연기설,
진여(眞如)연기설, 법계(法界)연기설, 육대(六大)연기설 등으로 발전한다.
그러나 그 모든 발전된 연기설의 기초로써 십이연기설(十二緣起說)이 자리하고 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