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며 사랑하며

[스크랩] 법정스님이 함석헌 선생님께 드리는 추모의 글

tlsdkssk 2012. 8. 16. 05:49


[1989년 4월호 '씨알의 소리'] 법정스님이 함석헌 선생님께 드린 추모 글 "사람 목숨 허무해라 물거품일세 80년 한 평생이 봄날의 꿈이어라. 인연 다해 이 몸뚱이 버리는 이 날 한덩이 붉은 해가 서산으로 진다." 고려말 태고화상(太古和尙)의 임종의 노래다. 다른 사람들로는 몇생을 산다 할지라도 그 만큼 살 수 없는 알차고 빛난 생을 누렸으면서도 한 평생이 봄날의 꿈 같다고 하니, 생명의 덧없음이 우리에게까지 다가서는 것 같다. 사람은 가고 기억만 남는가? 함 선생님께서 어느덧 고인이 되셔서 그 기억을 더듬으려고 하니, 새삼스레 삶의 허무를 되새기지 않을 수 없다. 우리들도 언젠가는 자기 삶의 그림자를 이끌고 태초 생명의 그 바다로 돌아 갈 것이지만, 함 선생님을 처음 뵙게 된 것은 종로에 있던 사상계사(思想界社)에서였다. 사장인 장준하 선생님을 만나러 갔다가, 때마침 나보다 한 걸음 늦게 사무실로 들어오시는 함 선생님과 마주치게 되었다. 그 때가 한일국교정상화를 반대하던 6. 3사태가 있던 그 해 봄이었다. 그 날 동국대학교에 가서 강연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이라고 하셨는데 꼬장꼬장한 모습이었다. 그 무렵 나는 해인사 퇴설당선원에서 정진하던 때였다. 두 번째는 함 선생님께서 미 국무성 초청으로 도미하기 직전, <뜻으로 본 韓國歷史> 를 다시 손질하기 위해 해인사의 한 암자(金仙庵)에 들어와 계실 때였다. 이 무렵에는 자주 뵙고 귀한 말씀을 들을 수 있었다. 한 번은 해인사 큰방인 궁현당(窮玄堂)에서 선생님을 모시고 전 대중이 말씀을 듣게 된 자리를 갖기도 했었다. 주제는 한국의 종교가 나아갈 길에 대해서였는데, 그 어떤 종파를 가릴 것 없이 매서운 채찍질을 해주었다. 젊은 스님들한테는 적잖은 일깨움이 되어 주었었다. 70년대에 들어서 서울 봉은사 다래헌(茶萊軒) 시절, '민주수호국민협의회' 와 '씨알의 소리' 일로 거의 주일마다 자리를 같이하게 되었었다. 그 때 '씨알의 소리' 편집회의는 주로 면목동(중곡동?) 전세방에서 살던 장준하 선생님댁과 신촌의 김동길 박사댁과 내 거처인 봉은사 다래헌으로 옮겨 다니면서 열게 되었다. 어디를 가나 정보기관에서 뒤따라 다녔기 때문에 편집위원들의 신경은 자연 긴장하지 않을 수 없었다. 봉은사에서 있었던 일이다. 그 날의 모임에 누구누구가 참석했다고 담당 형사가 전화로 상부에 보고 중인 장면을 목격한 나는, 홧김에 그 전화기를 빼앗아 그의 면전에서 돌에 박살을 내버렸었다. 그 때의 우리들은 피차가 잔뜩 독이 올라 있었다. 이런 모임이 아니고도 함 선생님께서는 이따금 우리 다래헌에 들르셨다. 차를 좋아하셨기 때문에 샘물을 길어다 차를 달여 마시면서 마하트마 간디며 칼릴 지브란이며 노자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듣게 되었다. 미국에 가셨을 때인데, 함 선생님을 태우고 가던 택시 운전사가 함 선생님 얼굴을 빤히 보더니 칼릴 지브란을 닮았다고 하더란다. 그래서 함선생님께서 <예언자> 를 한국어로 번역했다고 했더니 아주 반기면서 정식으로 악수를 청하더라고 하셨다. 함 선생님께서 주관하시는 퀘이커모임을 우리 다래헌에서 연 적도 있었다. 나도 그 때 한 곁에 앉아 참석하면서 번다한 종교적인 의식이 없고, 마치 참선과 같은 퀘이커 모임을 처음 알게 되었었다. 그 무렵 함 선생님은 노인답지 않게 아름다움 앞에 천진스런 면모를 자주 드러내셨다. 뜰에 피어 있는 꽃을 보면 무심히 지나치지 않고 걸음을 멈추고 눈 여겨 살피면서 꽃에 대한 해박한 이야기를 많이 하셨다. 원효로 집에 그 손바닥만한 뜰과 온실에 여러 가지 화초를 손수 가꾸셨던 걸 보아도 꽃을 얼마나 좋아하셨는지 알 수 있다. 한번은 꽃삽과 호미를 가지고 와서 다래헌 곁에 무성하게 자라오르는 머위를 옮겨 가기도 하셨다. 머위 이파리의 쌉쌉한 그 맛을 좋아하셨다. 초파일 때 만든 연꽃등을 우리 방에 달아두었는데, 한번은 그걸 유심히 쳐다보시면서 '거 참 곱다, 거 참 잘 만들었다' 는 말씀을 연거퍼 하셨다. 가시는 길에 떼어서 드렸더니 어린애처럼 아주 좋아라 하셨다. 1975년 가을 내가 거처를 조계산 불일암으로 옮겨오게 되자, 내 산거(山居)에 한 번 오시고 싶다는 서신을 보내왔었다. 오셔서 쉬어가시라는 회신을 이내 보내드렸더니, 15~16인 되는 장자모임 회원들과 함께 오시게 되었다. 회원들은 아랫절(송광사)에 묵도록하고 함 선생님은 나랑 같이 우리 불일암에 올라와 하룻밤 주무시게 되었다. 그 때 많은 말씀 중에서 나는 다음과 같은 말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 "나도 젊다면 산 속에 들어와 중이나 되었으면 좋겠소." 그 때 어떤 심경에서 하신 말씀인지는 몰라도 아주 침통한 어조로 말씀하셨다. 그 무렵 안팎으로 몹시 지쳐 있는 듯한 느낌이었다. '나도 중이나 되었으면.........' 하시던 그 때의 그 말씀이 함 선생님을 생각할 때마다 한동안 그림자처럼 뒤따르곤했다. 그리고 나는 이 때 함 선생님께 두고 두고 죄송한 마음의 빚을 지게 되었다. 다 알다시피 함 선생님은 하루 한끼밖에 안 자셨다. 그것도 저녁을............ 그 때는 내가 불일암으로 옮겨온 지 얼마 안 되어, 양식은 있었지만 20명 가까운 사람들이 한꺼번에 먹을 수 있는 그릇과 수저가 절에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지금도 마찬가지이지만 그때는 더욱 그랬다. 함께 온 회원들에게 그런 사정을 이야기하면서 밥 대신 감자를 삶아 먹으면 어떻겠느냐고 했더니 다들 좋다고 해서 감자를 한솥 삶았었다. 젊은 사람들은 별식이라 좋았겠지만, 하루 한끼 밖에 안 드시는 노인이 감자로 끼니를 대신한다는 것은 아무래도 무리한 일이었다. 겨우 두 갠가 드시고는 더 안 드셨다. 이 때 일이 두고두고 나를 후회하게 했다. 따로 밥을 지어드려야 했었는데, 융통성이 없이 꼭 막힌 나는 미처 그런 생각을 하지 못했던 것이다. 또 한가지, 나는 함 선생님의 마지막 가시는 길에 예를 드리지 못한 허물을 지었다. 그 때가 안거중인데다 영결식날 하필 절에서 예정된 행사가 있어, 인편에만 조문을 대신케 하고 참석치 못하고 말았다. 고인과 유가족께 죄송하고 송구스러울 따름이다. 돌이켜 생각하면, 함석헌 선생님과 같은 큰 어른을 가까이서 모실 수 있었던 인연에 감사드리지 않을 수 없다. 한 개인의 삶이란 그 자신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계된 세계를 통해서 거듭거듭 형성된다. 이런 사실을 상기할 때, 함 선생님을 어렵고 험난한 우리시대의 큰 스승으로 우리들 가슴 속에서 오래오래 삶을 함께 하리라 믿는다. 선생님의 명복을 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다음카페 : 『 가장행복한공부 』 '가장 행복한 공부' 無量光明 합장
출처 : 가장 행복한 공부
글쓴이 : 無量光明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