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에 저항하지 말라

모란이 무너져 내리고 빈자리에 작약이 피고 있다.
찬란한 꽃 빛깔과 그 자태가 사람의 발길을 자꾸 가까이 끌어당긴다,
5년 전 고랭지에 피어 있는 작약을 보고 가까이 두고 싶어 농원에 가서
백 그루를 사다 심었었다, 그런데
그 해에 잠시 집을 비운 사이 웬 검은 손이 와서 모조리 캐가고 말았다,
그떄 남은 이삭이 움을 틔워 요즘 꽃을 피운 것이다, 기특하고 고맙다,
이른 아침 채소밭 머리에서 밤새 자라 오른 상추며 아욱, 오이넝쿨 등을
바라보고 있으면 이 산천의 정기가 내 몸에까지 스며드는 것 같다, 아욱은
10여년 전 씨를 구해다 한번 뿌리고 나서는 해마다 거져 따서 먹는다,
지나 해에 떨어진 씨앗에서 움이 터 내 일손을 덜어 준 것이다.
그 강인한 생명력이 놀라울 뿐이다,
요즘 나는 방 안에서 지내는 시간보다 채소 밭이나 뜰에 나가 어정거리는
시간을 즐기고 있다. 방 안에서는방석 위에 앉아 있거나
차를 마시는 일이 고작인데, 뜰에 나가 있으면 생기에 넘치는 살아 있는
것들을 대할 수 있어 무료하지 않고 그 기운으로 나를 채울 수 있다.
올여름에는 거의 책을 보지 않는다, 눈이 번쩍 뜨이는 그런 책을
가까이 접할 수도 없지만 비슷비슷한 소리에 진력이 났기 때문이다,
그러고 돋보기를 맞추어 쓴 지가 10년도 훨씬 넘기 때문에 눈이 쉬이
피로해 져서 책을 멀리하게 된것이다.
어쩌면 다행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종이에 활자로 박힌 남의 글보다는
나 자신을 읽고 들여다보는 시간이 보다 소중하게 여겨진다.
해마다 이맘때면 저녁 어스름을 타고 쏙독새가 찾아와 오두막 위를
선회하면서 '쏙독, 쏙독, 쏙독쏙독...........' 내 벗이 되어 주었는데 2,3년
전부터는 그 소리를 들을 수 없다, 토끼도 해가 기울면 오두막 가까이
내려 와 뜰에서 어정거리거나 채소밭에 들어가 요기를 하고 갔느데
요 몇해 동안은 자취를 볼수 없다, 겨울철에 산 수국 대궁을 뜯어먹느라
그 아래 배설물을 남기고 간 자취를 보면 아주 사라진 것은 아닌 것 같은데
밀렵꾼들 때문에 몹시 조심하는 것 같다,
책꽂이를 정리하다가 뜻밖에 묵은 일기장이 꽂혀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
대충 흝어 보며서 내 삶의 자취가 빛이 바랜 사진첩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1995년 6월17일[토요일], 남불 생 레미에서 쓴 대목, 여행 중에 가지고 간
크리슈나무르티의 [명상집]에서 인용한 글이 실려 있었다,
홀로 명상하라,
모든 것을 놓아 버려라,
이미 있었는지를 기억하지 말라,
굳이 기억하려 하면 그것은 이미 죽은 것이 되리라,
그리고 그것에 매달리면 다시는 홀로 있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저 끝없는 고독, 저 사랑의 아름다움 속에서 그토록 순결하고
그토록 새롭게 명상하라.
저항하지 말라.
그 어떤 것에도 장벽을 쌓아 두지 말라.
온갖 사소한 충동, 강제와 욕구로부터
그리고 그 자질구레한 모든 갈등과 위선으로부터
진정으로 온전히 자유로워지거라,
그러면 팔을 활짝 벌리고
삶의 한복판을 뚜벅 뚜벅 당당하게 걸어 갈 수 있으리라.
♧♧♧